반응형

우동식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장은 4일 “일본 후쿠시마 앞에 서식하는 우럭이 우리나라 연안으로 건너올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말했다




이날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브리핑에서 우 원장은 최근 후쿠시마 앞바다에서 잡힌 우럭에 기준치를 훨씬 상회하는 세슘이 검출됐다는 보도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우동식 국립수산원 원장이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 브리핑에 참석해 정착성 어종과 회유성 어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우 원장은 “우럭은 바위가 많은 얕은 연안에 정착해 사는 어종”이라며 “후쿠시마 앞 연안에 정착해 사는 우럭이 태평양·대한해협의 거센 물결과 깊은 바다를 헤치고 우리 바다까지 1000km 이상을 유영해 온다는 것은 어류 생태학적으로도 불가능한 이야기”라고 설명했다
이어 “어류 생태학적으로 물고기는 각자가 좋아하는 서식지와 산란장, 회유경로, 수온, 먹이, 수층 등이 정해져 있고 거기에 맞게 적응돼 있다”며 “같은 종의 물고기라 하더라도 산란장이 다르면 계군이 분리돼 이들은 섞이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계군은 일정한 지리적인 분포 구역 내에서 자연번식이 가능한 집단을 의미한다
반면 회유성 어종은 산란장과 서식지가 달라 먼 거리를 이동하며 산다
우리나라 국민들이 많이 소비하는 대중성 어종인 고등어, 갈치, 참조기, 멸치 등이 회유성 어종에 속한다
우 원장은 “이 어종들은 참조기를 제외하고는 일본에서도 같은 어종들이 잡히고 있다”면서 “이들은 같은 종이라도 일본에서 잡히는 것들과 산란장과 서식지가 다르기 때문에 우리나라로 넘어오지 않는다”고 밝혔다
우동식 국립수산원 원장이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 브리핑에 참석해 정착성 어종과 회유성 어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